첫 직장에 취업하여 급여를 타면서 체크 · 신용카드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카드 판매 홍보 혹은 아는 사람, 특정 사이트에 정리되어 있는 순위 등을 보고 참고하지만 광고 같아 보이고 내게 잘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저 또한 무작정 인터넷을 보고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좋은 혜택을 받고 시작할 수 있었거나 더 나은 카드가 있는 등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누군가 첫 시작을 이끌어준다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첫 주제를 카드 테크 트리로 정했습니다.
사회 초년생에게 최적화된 찐 카드 테크 트리
사회 초년생 카드 테크 트리 上
좋은 회사에 취업하거나 아르바이트 등으로 소득이 충분히 있다면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초년생들은 (대기업에 취업해도) 돈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딱 돈 없는 사회 초년생 환경에서 적합한 카드를 추천해 드렸습니다. 꼭! 그대로 따라 해보시길 권해드려요.
저는 지금도 설명해 드릴 카드와 테크 트리를 알차게 사용하고 있답니다.
신규 발급 고객 혜택 똑똑하게 챙기기!
카드사에서 공식으로 발급받거나 카드 순위를 비교해 주는 곳(예: 카 X 고릴X)에서 발급받으면 기껏해야 대부분 연회비 면제가 전부인데요, 신규 카드 발급 시 신청을 어디서 하느냐에 따라 혜택이 달라집니다. 10~20만 원 상당의 페이백과 카드사&은행과 연계하여 첫 고객을 대상으로 고금리 적금에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카드사 신규 발급 전엔 꼭 다양한 발급 경로들을 찾아보셔야 합니다.
카드 발급 혜택들 어디에서 확인할까?
보편적으로 발급 후 1~2개월 내에 00만 원 이상을 사용하면 00만 원을 페이백 해주는 이벤트가 대부분입니다. 공식 사이트에서 발급받는다면 연회비 면제 혜택뿐이지만 다른 곳을 통해서 발급받으면 10~20만 원을 돌려받으니 더 이득이지요?
아래의 플랫폼 중 내가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에서 있는 이벤트 혹은 카드 발급 메뉴에서 확인해 보세요.
보통 현금 혹은 현금화가 가능한 페이백을 지급하지만 현금화가 불가능한 포인트로 페이백을 해주는 경우 막상 페이백 받아도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도 고민해 보셔야 해요. (예: 카카오 페이) 또한 매주 · 매월 혜택이 달라지는 점 참고해 주세요.
내가 발급받으려는 카드는 혜택이 없는데요?
내가 발급받으려는 카드 혹은 이 글에서 추천해 드릴 카드가 이벤트 대상이 아닐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발급받으려는 카드사에 해당하는 혜택 카드를 먼저 발급받고, 원래 이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추가 발급하면 됩니다.
신용카드는 카드사에서 발급 심사만 통과하면 카드사 내의 추가 발급은 제한이 없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혜택을 주는 카드는 조건을 만족 후 혜택을 받고 나서 해지하시면 연회비가 일할 계산되어 일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연회비 환불 기준은 카드사 정책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요.)
요즘 연회비가 있는 체크카드도 있지만 대부분의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없으므로 둘 다 발급받으면 되겠지요?
카드&은행 연계 고금리 특판 적금도 확인해 보세요.
일부 카드사들은 신규 고객에 한해서 은행과 연계하여 연 7~10%의 고금리 특판 적금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우리카드는 🔗 Kbank 핫딜적금 x 우리카드, 롯데카드는 🔗 우리 Magic 적금 등이 있으니 신규 발급 전·후 내가 이용하는 카드사에 특판 적금이 있는지 꼭 확인해 보세요.
혜택 제공 플랫폼에서 신규 발급 전 주의사항은 필수
플랫폼 · 카드사마다 이벤트 참여 방법 및 페이백 조건과 지급 시기가 다르므로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별도로 이벤트 참여 후 신청을 하거나 특정 버튼을 통해야만 지급되는 경우
다른 신규 발급 이벤트와 중복 참여 불가
특정 일까지 00만 원 사용 (카드 전표 접수일 기준, 승인 여부 기준 등)
주의사항은 간혹 바뀌는 경우가 있어, 발급받을 시점에 해당 내용을 캡처해두면 추후 확인하거나 이의 제기하기 원활하답니다.